'~하기 위해서'라는 뜻으로 쓰이는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in order to+동사원형]과 바꿔 쓸 수 있다고 배웁니다. 둘이 똑같은 애들이라고 들었지만, 저는 항상 차이점이 궁금했어요.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9.gif)
'둘이 차이가 없이 완전히 똑같지는 않을 텐데... 완전히 똑같다면 굳이 둘로 나눠둔 이유가 있을까?'라는 의문을 품으며 ㅎㅎ
오늘에서야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과 [in order to+동사원형]의 미묘한 차이를 알아냈습니다. 시작해볼까요!
1. 우선 전치사 to 잠깐 등장,,
지난번, 전치사 to에 대해서 다루었습니다. 그 글에서 전치사 to가 강조하는 느낌은 '도착'이라고 말씀드렸죠. 도착이기 때문에 '결과'를 강조하는 느낌입니다. 이 느낌을 잘 기억하고 계셔야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을 해석할 때도 편하답니다.
전치사 to와 관련된 글을 아래 링크해두겠습니다. 참고해주세요!
[전치사] 전부 '~쪽'이라는 의미 아닌가요? to/toward/into/at/for 도대체 뭐가 다를까요? 이동하는 전치
전치사 to 하면 생각나는 대표적인 의미는 바로 '~쪽'입니다. 즉, 이동입니다. 전치사 to와 비슷하게 생긴 toward, into와 더불어 생긴 건 다르지만 at, for도 움직이는 의미가 있는 것 같은데... 도대체
like-english-like-german.tistory.com
그럼 바로 예문으로 가볼게요.
2. 예문으로 비교해보기
- She studied hard (to) be a doctor. 그녀는 열심히 공부했다 (도착) 의사 되기
- 그녀는 열심히 공부했고 의사가 되었다. (열공 도착 : 의사)
- 그녀는 의사가 되려고 열심히 공부했다. (열공 목적 : 의사)
to 부정사의 부사적용법은 해석이 두 가지로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전치사 to에 '도착(결과)'의 뜻이 있기 때문에,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을 썼을 때 예문처럼 첫 번째 해석(결과)이 될 수 있어요. 즉, 두 번째 해석(목적)처럼 '~하기 위해서'의 의미로 문장을 쓰고 싶었는데, 결과의 의미로 해석될 여지가 있는 것이죠.
따라서, 독자들이 해석을 '결과'가 아닌 '목적'으로 확실하게 해 주길 바라는 마음으로 [in order to+동사원형]을 쓴 것입니다!
- She studied hard (in order to) be a doctor. 그녀는 열심히 공부했다 (~하기 위해서) 의사 되기
- 그녀는 의사가 되기 위해서 열심히 공부했다.
- We took a break (to) recharge.
- 우리는 재충전을 하기 위해 휴식을 취했다. (목적)
- 우리는 휴식을 취해서 재충전을 했다. (결과)
to 부정사의 부사적용법은 이렇게 두 가지 경우로 해석될 수 있어요. 엄청나게 큰 차이는 없지만 미묘한 차이 때문에 디테일한 해석이 힘들 수는 있죠.
- We took a break (in order to) recharge.
- 우리는 재충전을 하기 위해 휴식을 취했다. (목적)
따라서 [in order to+동사원형]으로 써주면,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으로 썼을 때 보다 해석이 더 명확해지겠죠?
전치사 to가 to 부정사로도 연결이 되니까 한편으론 신기해요. 전치사가 가진 느낌만 제대로 알고 있으면, 줄줄 암기할 필요도 없고요! 옛날엔 무작정 외우기만 해서 너무 힘들었던 기억이...^^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6.gif)
오늘은 이렇게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과 [in order to+동사원형]의 미묘한 차이를 알아보았습니다. 제 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