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천재 교과서 6과에 등장하는 사역동사를 살펴보겠습니다. 1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42.gif)
기출 포인트는 물론이고, 각 동사마다 달라지는 미묘한 의미도 알려드릴게요!
1. let/have/make+목적어(행위자)+동사원형
- She also buys books and makes me study them.
- Please let me take care of things myself.
- 엄마는 책을 사 와서 저에게 공부하라고 시키세요.
- 제 일을 스스로 할 수 있게 해 주세요.
6과 본문에 등장하는 사역동사 문장들입니다. makes(make)+me(행위자)+study(동사원형), let+me(행위자)+take(동사원형)으로 잘 쓰였습니다. 사역동사는 시키는 사람(she)과 행하는 사람(me)이 다르다는 것이 특징이죠!
참고로, get은 준사역동사라고 부르며 '준'한다는 의미에서 기존의 사역동사 공식과는 살짝 다릅니다. [get+목적어(행위자)+to부정사]입니다.
2. 빈출 포인트 2가지
사역동사와 일반동사를 구별할 수 있는가?
- Let's make an appointment.
- He usually makes a pizza with lots of cheese.
- I make my robot bring a book.
- 약속을 잡자.
- 그 남자는 보통 치즈가 많이 들어간 피자를 만든다.
- 나는 내 로봇에게 책을 읽게 한다.
구별 꿀팁은, 사역동사 뒤에 동사원형이 존재하는지 아닌지 파악하는 것입니다. 사역동사(make) 공식에서도 알 수 있듯이, make 뒤에 동사원형이 등장해야 합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문장은 일반동사로 쓰인 make입니다. 목적어까지만 등장하고 동사원형은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사역동사로 쓰인 make는 세 번째 문장입니다. 동사원형 bring이 보이죠?
목적격을 썼는가? 또는 동사원형을 썼는가?
- Ms. Park had he finish the project by 5.
- Ms. Park had him finish the project by 5.
- 박 씨는 그가 프로젝트를 5시까지 끝내도록 했다.
사역동사의 공식은 [let/have/make+목적어(행위자)+동사원형]입니다. 따라서 주격인 he가 아닌 목적격 him을 써야 정답입니다. 대충 보고 쓱 넘어가면 틀리기 쉬운 출제 포인트!
- My dad makes me to wash the car.
- My dad makes me wash the car.
- 아빠는 나에게 세차를 시키신다.
동사원형이 따라 나오는 공식에 따라, to 부정사가 아닌 동사원형 wash를 써야 정답입니다. 난도가 높진 않지만, 꼼꼼하게 보지 않으면 아깝게 틀리는 포인트입니다.
3. 미묘한 의미 차이
영어는 영어로 봐야 제대로 알 수 있다고 생각하는 1인...^^...이라서 영영 풀이를 가져왔습니다.
- let : allow
- have : to give someone the responsibility to do something
- make : to force someone to do something
- get : to convince someone to do something or to trick someone into doing something.
똑같은 예문을 통해 미묘한 해석 차이를 보여드리겠습니다.
- She lets Mark drive the car.
- She has Mark drive the car.
- She makes Mark drive the car.
- She gets Mark to drive the car.
- 그 여자는 마크가 운전할 수 있게 한다. (허락)
- 그 여자는 마크가 운전하게 한다. (의무)
- 그 여자는 마크에게 운전하라고 한다. (강요)
- 그 여자는 마크가 운전할 수밖에 없게 한다. (설득)
어떤가요? 아주 살짝이지만 해석 차이가 존재합니다. 시험에 출제되는 포인트는 아니기 때문에 가볍게, 재밌게(?) 보고 넘어가시면 되겠습니다. 참고 문헌 출처는 여기!
상당히 중요한 문법 중 하나인 사역동사를 살펴보았습니다. 혹시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오늘의 글이 도움 되셨다면 하트 꾹-♥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25.gif)
- 동작(동사)의 행위자를 분명하게 밝히기 위한 문법. 영어는 문장 구조상 행위자가 누구인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편 [본문으로]
댓글